서울시가 고령자나 장애인, 유아차를 이용하는 육아부모 같은 이동약자들의 정보접근성과 이동권을 강화하기 위한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를 개발했습니다. 시민들이 즐겨 찾는 174개 공공시설 내 편의 시설 정보는 물론, 대중교통에서 시설까지 최단경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시는 30일(목)부터 ‘스마트서울맵’(map.seoul.go.kr) 에서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를 서비스한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접속해 사이트 내 도시생활지도 →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에서는 고척스카이돔, 서울무역전시장(SETEC),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등 174개 공공시설의 접근성 정보를 아이콘 등 시각정보로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내가 가고 싶은 시설을 지도에서 선택하거나 시설 이름을 검색한 뒤 ‘보행로 정보’를 선택하면 인접(500m) 지하철역에서 해당 시설까지 휠체어 등으로 접근 가능한지 여부와 최단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물 정보’를 선택하면 수유실, 장애인화장실 등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도상에서 아이콘으로 간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어르신과 장애인, 육아부모 등 이동약자들에게는 도시 내에서 이동하는 것 자체가 큰 부담일 수 있죠. 서울시는 이들에 대한 정보접근성을 강화해 방문 예정 시설의 편의시설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이동약자들의 이동권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는 이번 174개 공공시설을 시작으로 대상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나갈 계획입니다. 또, 시시각각 변하는 시설현황이 지도에 빠르게 반영될 수 있도록 ‘시민참여단’을 통해 지도 정보를 최신화해 시민 이용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목표입니다.
174개 시설은 시 소유 공공시설 가운데 공공성이 높고 시민이용 빈도가 높으며 이동약자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들로 선정했습니다.
서울시 공공시설 내부 접근성 정보지도 개발목록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 서비스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유니버설디자인센터(http://www.sudc.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도 구축 사업추진 배경, 과정 및 결과, 접근성 정보지도 제작 표준 매뉴얼 등을 담은 종합 보고서도 열람 가능합니다.
접근성 정보지도 제작 및 활용, 서비스 지역 및 대상 확대 등 상호 협력을 원하는 기업 및 단체는 서울특별시유니버설디자인센터(☎02-2232-7800)로 문의하면 됩니다.
<관련 글 보기>
[여러가지 정보] - 서울시 한강 QR 176 오픈 ,QR 만 찍으면 한강 정보 한눈에 본다.
서울시 한강 QR 176 오픈 ,QR 만 찍으면 한강 정보 한눈에 본다.
서울시가 QR만 찍으면 한강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QR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서울시 한강사업본부가 QR코드만 찍으면 한강공원별 세부지도, 편의시설은 물론 관광
reverdy.tistory.com
'여러가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코엑스에서 28일까지 개최 (0) | 2021.09.27 |
---|---|
2022년까지 도시철도 차량에 CCTV 설치 (0) | 2021.09.23 |
추석 특선영화 리스트(9.19-9.22) (0) | 2021.09.19 |
17일부터 잔여백신으로 2차 접종 가능 (0) | 2021.09.17 |
서울시 추석연휴 문여는 병원 응급의료기관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