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 정보

교육부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계획 발표

반응형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교육공약 1호이기도 한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스스로 과목을 선택해 수강하는

제도입니다. 

교육부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혼란을 줄이기 위해 2023년부터 일반고교에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8월 23일(월) 고교교육 혁신 추진단 회의를 열고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고교학점제는 고교 교육의 종합적 혁신이 요구되는 정책으로 2025년 전면 적용(2018.8, ‘고교교육 혁신방향’)이 예정되어 있어, 교육부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전체 일반계열 고등학교*에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일반고 학점제는 현 중2가 고1이 되는 2023년부터 시행됩니다.

  • 고교 졸업을 위해서는 192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 1학점은 50분 기준 16회분량입니다. 2023-2024에는 17회로 늘어납니다.
  • 현재 204 단위에서 192학점으로 수업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 국·영·수 등 공통과목에 대해서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지도'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지도'는 학점 이수 기준인 학업성취율 40% (2025년 적용)를 기준으로 미도달 예방지도, 미도달 학생 보충 과정을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출처 - 교육부

 

[교육부+08-23(월)+14시보도자료]+2025년+전면+적용을+위한+고교학점제+단계적+이행+계획+발표-.hwp
1.40MB

 

 

 

 

 

반응형